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담다/건강

십이지장의 구조

by 올리비아세티아 2024. 6. 6.
반응형

십이지장은 위에 연결된 C자 모양의 소장이다.

윗부분, 아랫부분, 내림부분, 오름부분으로 나눠진다.

췌액과 담즙이 십이지장유두에서 분비된다.

 

십이지장과 주변 장기

 

위에 연결되는 C자 모양의 소장이 십이지장이다. 췌장에서 췌액이 간에서 담즙이 분비되는 입구를 대십이지장유 두(Vater의 유두)라 하고, 여기에 소화액의 유입을 조절하는 오디괄약근이 있다.

C자 모양을 한 십이지장

 

위의 유문을 통과한 지점부터 췌장을 감싸듯 커브를 그리면서 이어지는 소장이 십이지장이다. 십이지장과 연결되는 공장 · 회장을 합친 전 체가 소장이지만, 그 구조나 역할 면에서 십이지장만 다르게 취급하기로 한다. 길이는 25cm 정도로 'C' 자 모양을 하고 윗부분, 아랫부분, 내림 부분, 오름 부분의 4곳으로 구분된다. 오름 부분의 끝에는 근육조직을 포함한 민무늬 모양의 십이지장제근(트라이츠 인대)이 있고, 인대는 위쪽에 횡격막에 붙어서 십이지장의 상행부에 매달려 있다.
십이지장은 복막 뒤쪽에 있고, 후복벽에 붙어 있어서 고정되어 있다.

 

췌액과 담즙이 분비된다

 

십이지장의 아랫부분에는 췌장에서 췌액과 담낭에서 담즙을 분비하는 관이 개구하고 있다. 그 입구가 볼록 솟아 있는 형태라서 유두라 불 리고, 총담관과 주췌관이 합류한 관의 출구를 대십이지장 유두(Vater의 유두), 부췌관의 출구를 소십이지장유두라고 한다. 대십이 지장유두에는 입구를 개폐하면서 소화액의 분비를 조절하는 괄약근(오 디괄약근)이 붙어 있다.
십이지장벽은 내측부터 점막, 점막하층, 근육이 원형으로 뻗은 윤상 근층, 근육이 세로로 뻗은 종주근층, 장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에 는 점막이 원형으로 돌출된 윤상주름이 보이는데, 공장이나 회장보다 작고 불완전하다.


 

어구

십이지장

위에 연결되는 C자 모양. 소장의 일부. 췌액과 담즙이 분비된다. 복막후 기관

십이지장제근

트라이츠 인대라고도 한다. 근육조직이 들어있는 섬유성 조직으로 십이지장을 횡격막 쪽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이 부분부터 원 위부의 소장이 공장이다.

대십이지장유두

주췌관과 총담관이 합류한 관이 십이지장으로 개구하고 있는 부분. Vater 의 유두라고도 한다.

오디괄약근

주췌관과 총담관이 합류한 관이 십이지장으로 개구한 장소에 붙어 있는 괄약근. 췌액 등의 유입을 조절한다.

 

 

 

메모

십이지장 명칭의 유래

유래는 '손가락 12개의 길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손가락의 폭은 약 2cm로 설정된 것이라서 상당히 두껍다.

 

 

반응형

'지식을 담다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장과 회장의 구조와 역할  (0) 2024.06.08
십이지장에서 시작되는 소화  (0) 2024.06.08
위의 소화액과 소화효소  (0) 2024.06.06
위 점막과 위샘, 점액과 위산  (0) 2024.06.05
위의 구조와 기능  (0)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