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을 담다/건강

위의 소화액과 소화효소

by 올리비아세티아 2024. 6. 6.
반응형

위샘에서 나온 위액에는 점액, 산, 펩신 등이 들어있다.

펩신은 단백질을 펩톤으로 만드는 효소이다.

위액은 먹을 생각을 하거나 먹을때 분비가 증가한다.

 

단백질에 대한 위액의 기능

 

복잡한 입체구조를 갖고 있는 단백질이 산의 작용으로 풀어진다. 여기에 펩신이 작용해서 분해하고 펩톤을 만든다.

위액의 분비가 증가하는 기전

 

위액의 분비가 증가하는 기전
음식물이 위에 들어가면 위벽에 있는 수용기와 세포가 그것을 감지하고 신경이나 호르몬에서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1) 위벽이 늘어난 것을 신전수용기가 감지한다. 그 정보가 연수에 도착하면 미주신경을 통해서 위액분비를 촉진하라는 명령이 떨어진다.
2) 위벽의 G세포가 위속의 pH상승을 감지한다.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는 가스트린을 분비한다.

위액 성분과 소화효소의 기능

 

위액은 위샘에서 나오는 소화액으로 산, 소화효소(펩신, 위리파 아제), 끈적끈적한 뮤신 등이 들어있고, 하루에 2.5l 정도 분비된다.
펩신은 단백질을 분해하는 소화효소이다. 단백질은 아미노산 이 많이 연결되어 복잡한 입체구조로 이루어진 물질이다. 펩신은 산의 작용으로 입체구조가 풀린 단백질을 거칠게 절단해서 펩톤(폴리펩티드의 일종)이라는 아미노산 사슬로 만든다. 이 처리는 단백질 소화의 첫 단계이다.
위리파아제는 지질을 분해하는 소화효소이지만, 위에서 소화되는 지질은 아주 소량이다.

 

위액은 식후에 분비가 증가한다

 

위액은 항상 일정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식후 몇 시간 동안 집중해 서 분비된다. 즉, 위에 음식물이 들어가면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먼저 음식물을 보거나 냄새를 맡아서 먹고 싶은 생각이 들면 대뇌에서 미주신경을 통해 위액의 분비를 증가시키라는 명령을 내린다. 위에 음식물이 들어가면 위벽이 늘어난 것을 센서(신전수용기)가 감지하 고, 그 정보가 미주신경으로 전달되면 위액의 분비가 촉진된다. 게다가 음식물이 들어가면 위의 내용물이 묽어지고 pH가 상승한다. 그러면 위 벽에 있는 특수한 세포가 그것을 감지해서 가스트린이라는 호르 몬을 분비해 위액의 분비를 촉진한다.


 

어구

위의 위샘에서 분비된 소 화액으로 점액과 산, 펩신 등의 소화효소를 함유한 다. 그러나 펩신은 위샘에 서 펩시노겐의 형태로 분 비되고 점막에서 산과 반 응해서 펩신이 된다.

 

 

 

키워드

폴리펩티드

아미노산이 많이 연결된 물질, 단백질보다 아미노산의 수는 적고, 구조도 간단하다.

가스트린

위나 십이지장의 특별한 세포에서 분비된 소화관 호르몬. 위산과 펩시노겐의 분비를 촉진한다.

 

 

반응형

'지식을 담다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이지장에서 시작되는 소화  (0) 2024.06.08
십이지장의 구조  (2) 2024.06.06
위 점막과 위샘, 점액과 위산  (0) 2024.06.05
위의 구조와 기능  (0) 2024.06.05
식도의 구조와 운동  (1) 2024.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