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에서 항문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음식물을 소화시켜 영양소를 흡수한다.
소화란 음식물을 흡수할 수 있는 크기의 작은 입자로 분해하는 것이다.
흡수란 영양소를 소장의 세포를 거쳐 혈관 등으로 거둬들이는 것이다.
음식물 여행은 일방통행
입으로 섭취한 음식물은 소화관을 통과하는 동안 조금씩 소화되어 소장에서 영양소가 흡수된다. 남은 찌꺼기는 변(똥)으로 배설된다.
음식물을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소화시킨다
소화기관은 음식물을 소화시켜서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흡수하는 일 을 한다. 흡수한 영양소는 몸이 활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뼈나 근육, 피부, 혈액과 같이 몸을 만드는 구조물의 재료나, 또는 몸의 여러 가지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데 이용된다.
음식물의 원래 상태로는 영양소로 흡수되지 못한다. 영양소는 소장 점막을 덮고 있는 융모에 있는 흡수상피세포를 통해서 혈관이나 림프 관으로 흡수된다. 따라서 입으로 들어가 소장에 도달할 때까지 세포막이나 혈관 등의 벽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입자로 분해=소화되어야 한다. 소화에는 치아로 씹거나 소화관이 활발하게 움직임으로써 내용물을 휘저어 섞거나 잘게 부수는 기계적(물리적) 소화와, 소화효소에 의해 분자사슬을 끊어서 작은 입자로 만드는 화학적 소화 가 있다.
흡수된 영양소는 간으로, 찌꺼기는 변으로
흡수된 영양소의 대부분은 간으로 보내진다. 간은 도착한 영양소를 저장하고, 그것을 재료로 삼아 몸에 필요한 물질을 합성해서 온몸으로 보낸다. 약이나 알코올 등의 독소를 해독하는 것도 간이 하는 일이다. 한편 영양소를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는 대장을 통과하는 동안에 수분이 빠지면서 변(똥)이 되어 항문으로 배출된다.
입으로 들어가서 항문으로 나올 때까지의 음식물 여행은 정상일 경 우 언제나 일방통행이다.
어구
기계적 소화
치아로 씹거나 소화관의 작용으로 잘게 부수거나 휘저어 섞어서 소화시키 는 것.
화학적 소화
산이나 소화효소를 이용 해서 화학적으로 영양소 의 분자구조를 끊어 작은 입자로 만드는 것.
키워드
흡수상피세포
소장의 점막 표면에 분포 된 세포로 영양소를 흡수 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
지질의 소화·흡수 구 조
지질은 당질이나 단백질 의 소화·흡수 구조와는 달리, 일부가 혈관이 아 닌 림프관으로 흡수된다
'지식을 담다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막은 장기의 위치를 지킨다 (1) | 2024.06.02 |
---|---|
소화관의 연동운동 (0) | 2024.06.01 |
미주신경의 기능 (0) | 2024.06.01 |
소화기관의 출혈과 혈관 (0) | 2024.06.01 |
소화기관의 구조 (1) | 2024.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