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영양소는 소장에서 흡수되고 문맥에 의해 간으로 들어간다.
당질과 단백질은 흡수상피세포의 막수송단백질로 운반된다.
당질은 흡수상피세포의 막을 그냥 통과한다.
3대 영양소의 흡수
최소 단위의 물질까지 소화된 당질과 단백질은 흡수상피세포로 운반되어 혈관으로 들어간다. 지질은 흡수상피세포로 운반되어 일부는 혈관으로, 일부는 림프관으로 들어간다.
막수송단백질
세포막에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막수송단백질로 가득 차있다. 그리고 운반하는 물질에 따라서 다른 수송체가 있다. 당질과 단백질은 막수송단백 질로 운반되고, 지질은 세포막을 쉽게 통과한다.
영양소를 흡수상피세포로 운반하는 막수송단백질
3대 영양소(당질, 단백질, 지질)와 수분, 비타민, 미네랄 대부분은 소 장에서 흡수된다. 또한 소장에서 흡수되지 못하고 남은 수분과 미네랄 은 대장에서, 알코올은 위와 소장에서 흡수된다.
최소 단위까지 소화된 당질과 단백질, 비타민과 같은 대부분의 영 양소는 소장점막의 흡수상피세포로 운반된다. 그 구조는 영양소에 따라 다르다.
당질의 최소 단위인 글루코오스나 프럭토스, 단백질의 최소 단위인 아미노산은, 세포막에 있는 막수송단백질이라 불리는 장 치에 의해 세포 속으로 끌려들어 간다. 막수송단백질은 한 종류가 아니 고, 영양소마다 다른 형태가 준비되어 있다. 그에 비해서 지질은 세포막을 쉽게 통과한다. 그것은 세포막이 지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질을 운반하는 막수송단백질은 없다.
융모의 모세혈관이 모여서 문맥이 된다
흡수상피세포 속에 들어 있는 영양소는 필요에 따라 세포 내에서 처리된 후에 융모의 중심을 지나가는 모세혈관(지질의 일부는 림프관)으로 들어간다. 모세혈관은 조금씩 모여 장간막을 통과하는 정맥 이 되고, 상장간막정맥과 하장간막정맥에 모여 다시 합류해서 문맥이 되어 간으로 들어간다. 림프관은 조금씩 모여 복부에 있는 가슴림프관팽대를 통해서 복부의 배관으로 올라가 왼쪽 쇄골하정맥과 총경정맥의 합류점으로 들어간다.
어구
막수송단백질
흡수상피세포의 막에있고, 당질과 단백질을 운반하는 장치.
키워드
가슴림프관팽대
복부에 있고, 하반신에서 뻗은 림프관이 모이는 곳. 가슴램프관은 지질이 섞여서 유백색이 된 림프액을 말한다.
메모
세포막
세포막은 인지질이 이중층으로 되어 있는것. 지질은 이막을 쉽게 통과 한다.
'지식을 담다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관면역 (1) | 2024.06.16 |
---|---|
장내세균총과 기능 (0) | 2024.06.15 |
소화관호르몬의 기능 (0) | 2024.06.13 |
공장 · 회장의 장액과 소화효소 (1) | 2024.06.12 |
소장의 점막과 흡수상피세포 (1) | 2024.06.09 |